헬스장이야기

도화동 헬스피티 건강 염려증 뇌에서는 어떤일이 일어날까?...공덕 헬스피티

Flexmun 2024. 4. 19. 12:55
728x90
반응형

없던 병도 만드는 ‘건강염려증’… 뇌에선 어떤 일이?

뚜렷한 병이 없음에도 지나치게 건강을 염려하면 정말로 병을 부를 수 있다. 불안한 마음이 실제로 몸의 병을 일으키는 것이다. 의학적으론 이를 ‘신체증상장애’라고 부른다.

신체증상장애 환자는 뚜렷한 원인(질병)이 없음에도 △통증 △피로감 △소화불량 △어지럼증 등의 증상이 지속하기도 한다. 이 때문에 일상에 큰 지장을 받을 정도로 몸의 불편함을 느끼며 병원을 찾지만, 정작 진료실에선 ‘이상이 없다’는 말만 듣기 쉽다.

이에 대해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박혜연 교수는 “이들 환자는 신체적 불편함에 예민하기 때문에 병원을 찾더라도 진료과를 제대로 선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면서 “잘못 찾아간 진료실에서 반복적으로 ‘이상 없다’는 진단을 받아 불안감과 분노가 커지면 실제 환자의 통증도 심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즉, 이들 환자가 마음건강을 다루는 정신과 진료실을 제대로 찾아오는 게 절실하다는 조언이다.

이들 환자는 불안하거나 화가 날 때 실제로도 복통, 어지럼증과 같은 통증을 더 심하게 경험했다. 우울, 불안, 분노 등의 기분증상에 따라 신체적 증상을 더 강화한 것이다.

연구팀은 이를 유발하는 원리로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DMN)를 지목했다. 멍한 상태이거나 명상에 빠졌을 때 활발해지는 뇌 영역인 DMN은 신체 감각이나 감정, 스트레스를 처리하고 조절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연구에서 신체증상장애 환자들은 DMN의 연결성이 저하한 경향이 있었다. 특히 불안과 분노 등의 감정상태가 신체적 증상과 DMN의 연결 관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도 확인했다.

이는 부정적인 감정과 기분 상태가 통증 등의 감각을 인식하고 처리하는 DMN의 기능을 낮춘다는 의미였다. 즉, 뇌신경의 감각 처리 능력이 왜곡하면서 신체적 증상을 증폭시키거나 과반응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화난 상태의 감정은 위액 분비, 내장통증에 대한 민감도를 높여 위장장애나 복통을 악화할 수 있다.

http://ptgym.co.kr/index.php?mid=workout&document_srl=3508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