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건강정보 1973

도화동 헬스피티 승모근과 삼각근의 연결 1, 2...공덕 헬스피티

승모근과 삼각근의 연결 탐구 1어깨가 만성적으로 아픈 사람들은 골반까지 관절 가동 범위에 제한이 생긴다. 어깨 통증은 외상이 아닌 이상 모두 움직임 조절의 문제이다. 앞 쪽의 움직임은 큰 힘을 쓸 때 나오고, 움직임의 조절을 담당하는 것은 후방에서 나온다. 표면 전방상지선에 있는 대흉근과 광배근은 폭발적인 힘을 사용하여 던지거나 팔을 내리는 내회선의 움직임을 만들어 낸다. 사냥을 위해 특화된 움직임이다. 움직임 조절을 하기 위해선 심부 후방 상지선과 표면 후방상지선의 연결이 탄탄해야 한다.승모근과 삼각근의 연결 탐구 2무거운 물건을 들고 가면 견갑골이 전인하강 된다. 상부승모근 후섬유와 측면삼각근을 쓰지 않고 물건을 들으면 허벅지를 스치게 되고, 상부승모근 후섬유를 후인 거상 시켜 측면삼각근을 개입시키면..

건강정보 2025.07.18

대흥동 헬스피티 표면후방상지선 – 삼각근 (전면삼각근 측면삼각근 후면삼각근)...염리동 헬스피티

[상지선] 표면후방상지선 – 삼각근 (전면삼각근 측면삼각근 후면삼각근)삼각근과 승모근은 강하게 연결된다. 상부승모근 전섬유는 쇄골에서 끝나 전면 삼각근과 연결, 상부승모근 후섬유는견봉에서 끝나 측면삼각근과 연결되고, 중부승모근은 팔을 T자로 벌려야 후면삼각근과 연결된다. 상부승모근 전섬유+전면삼각근, 상부승모근 후섬유+측면삼각근의 연결이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쓰이게 된다.전면삼각근전면삼각근 면적은 폭이 좁은데 두께가 두껍다. 상완이두 근육의 장두 힘줄을 경계로 전면삼각근과 측면삼각근이 구분된다. 뒷짐진 상태에서 어깨를 만졌을 때, 어깨 앞쪽에 오목 들어간 부분이 상완이두 힘줄, 안쪽이 전면삼각근 바깥이 측면삼각근이다. 전면삼각근, 대흉근, 광배근이 뻣뻣해지면 팔뼈가 앞쪽으로 잡아당겨져서 팔을 뒤로 젖..

건강정보 2025.07.17

공덕역 헬스피티 [상지선] 표면후방상지선 – 승모근 (상 중 하부승모근)...애오개 헬스피티

[상지선] 표면후방상지선 – 승모근 (상 중 하부승모근)상체의 대둔근으로 힘이 아주 세다. 광배근은 운동을 시키지 않으면 마른 오징어처럼 아주 얇지만, 승모근은 모태 두껍다. 상, 중, 하부 승모근으로 나뉘는데, 중력이 아래로 잡아 당기기 때문에 상부승모근을 가장 많이 쓴다. 상부승모근은 견갑골이 전인 하강 될 때 긴장도가 증가하지만, 중, 하부 승모근은 기능이 저하되어 제대로 동원 되지 않는 때가 많으니 운동을 할 땐 중, 하부 승모근을 제대로 쓸 수 있게 만들어 줘야 한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승모근 운동을 하면 회전근개의 근활성도가 증가하고, 어깨 통증이 줄어든다고 한다. 어깨 통증의 원인은 명확하지 않으나 어깨 통증이 생기면 상부승모근이 과활성화 된다고 한다. 극상근이 안 좋은 사람들은 팔을 들어..

건강정보 2025.07.16

공덕동 헬스피티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소지굴근...아현동 헬스피티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소지굴근새끼손가락을 편 채로 굴곡했을 때 소지굴근이 쓰인다. 옆에서 봤을 때 손바닥이 두꺼운 솥뚜껑같은 사람은 힘이 세다. 소지굴근은 타고나게 두꺼워야 하고 악력을 만들어 내기에 손아귀의 힘이 좋다. 소지굴근은 어깨 안정성을 담당하는 극상근, 극하근, 회전근개까지 연결되고 견갑거근과 능형근까지 연결된다. 잘 쥐어야지 잘 당겨주고 안정성이 생긴다. 뇌에서 손으로 쥘 때 불안함을 느끼면 힘을 잘 안 쓰려 하기 때문에 쥐는 힘이 좋아야 한다. 원숭이는 엄지손가락이 짧아 인간처럼 손가락의 대립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원숭이는 젓가락을 4개의 손가락만으로 잡고 섬세한 동작이 불가능하다. 뇌와 손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발달한 인간의 뇌는 대뇌피질에서 동물이 구분하지 못하는 시간 ..

건강정보 2025.07.15

공덕 헬스피티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상완삼두 장두...도화동 헬스피티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상완삼두 장두팔뼈가 아래로 떨어지지 않게 해주는 삼총사-1번 극상근, 2번 상완이두의 장두힘줄, 3번 상완 삼두의 장두로 가장 적게 일을 한다. 야구선수가 볼을 던질 때 대퇴직근처럼 어깨관절의 굴곡과 팔꿈치를 펴주는 역할을 한다. 어깨 관절이 불안정하면 팔을 안쪽으로 모으기 위해 삼두 장두가 동원되는데, 고중량 데드리프트를 할 때 팔이 아래로 잡아당겨져 극상근이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이두와 삼두의 개입이 더 증가하고 쥐가 날 수도 있다. 극상근이 손상되었다면, 후면삼각근과 극하근, 중부승모근을 강화하면 좋다. 팔꿈치 안쪽에 자꾸 소리 나는 것은 팔꿈치가 더 벌어져서 그럴 수 있다. 공을 던질 때 상완 삼두 장두는 팔꿈치 안쪽으로 붙어 팔의 내측상과와 연결되어 쓰여진다...

건강정보 2025.07.14

염리동 헬스피티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소원근 견갑하근...대흥동 헬스피티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소원근대원근은 잘라진 단면은 가래떡 정도의 두께이고 소원근은 밀떡 정도의 두께이다. 극하근 아래쪽에 있는 소원근은 길이가 짧아 팔을 안쪽으로 잡아 당겨주는 역할을 한다. 팔이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길이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뻣뻣해지면 어깨 관절 가동범위를 제한하게 된다. 팔을 머리 위로 올리고 볼을 견갑골 외측연 사이의 가장 아픈 부위를 찾아 내외회전 하여 소원근을 먼저 풀고 그 뒤에 극하근을 풀어줘야 한다. 등산 가방을 매고 트레일 러닝을 할 때 가방끈이 겨드랑이쪽에 지나가는 신경다발을 눌러 팔이 저릴 수 있다. 어깨 관절이 불안정해져 팔을 안쪽으로 계속 잡아당기는 상황이 생겨도 겨드랑이쪽 공간이 좁아지고, 견갑골이 후인하강하여도 손가락이 저릴 수 있다. 목디스크나 사각..

건강정보 2025.07.11

애오개 헬스피티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능형근 극하근...공덕역 헬스피티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능형근 능형근과 견갑거근의 위치는 내측연 하각부터 상각까지 고르게 분포되어있다. 견갑거근은 위로 잡아당겨주고 능형근은 사선방향으로 있다. 능형근 수축은 약간의 후인 거상이 된다. 그 움직임이 승모근 방향과 일치하여 승모근이 덜 쓰이게 만들어준다. W레이즈를 가장 많이 추천한다. 상부승모근에 힘이 들어가지 않은 상태에서 견갑골이 모이면 능형근 수축이 맞다. 극상근은 견갑거근과 연결되고, 극하근은 능형근과 연결되어 기능을 만든다. 우선 척추와 가까운 근육부터 잘 쓸 수 있도록 만들어줘야 한다. 견갑거근이 견갑골을 거상시키고, 능형근이 견갑골을 후인시켜 준 다음에 외회전근 운동을 해서 팔을 움직여야 한다.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극하근 어깨 뒤에 위치한 극하근은 어깨관절..

건강정보 2025.07.10

아현동 헬스피티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극상근...공덕동 헬스피티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극상근중력이 견갑골에 붙은 팔을 잡아 당길 때, 견갑골이 아래쪽으로 떨어지는 것을 잡고 있는 것은 견갑거근이고, 상완골은 극상근이다. 극상근은 팔의 움직임 전체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 팔의 위 뒤쪽에 위치하여 앞으로 내미는 팔의 움직임을 잘 감지하고 안정시켜준다. 어깨관절 굴곡 가동범위는 앞쪽으로 180도. 뒤쪽으로 50도 신전이다. 앞쪽으로 굴곡이 더 가능한 이유는 견갑골의 기울기 때문이다. 인체는 앞으로 더 많이 움직이기 위해 앞으로 발달되었다. 그래서 견갑도 앞쪽은 열려있고 뒤쪽은 상대적으로 닫혀있다 극상근은 워낙 많이 쓰인다. 어느 움직임을 하든 무조건 개입될 수 밖에 없는 위치게 있어서 많이 쓰인다. 정지부가 기시부쪽으로 잡아당기면서 수축하기 때문에, 정지..

건강정보 2025.07.09

도화동 헬스피티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견갑거근...공덕 헬스피티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표면후방상지선어깨가 아프다고 어깨만 보지 말고 발부터 살펴봐야 한다. 발의 불균형은 어깨까지 연결 될 가능성이 있다.심부후방상지선은 회전근개를 포함한 어깨의 안정성을 담당하는 근육들의 연결이고, 1차적으로 먼저 운동되어야 할 근육이다. 어깨 뒤쪽의 근육들은 팔을 굽혀 굴곡 할 때, 어깨 앞의 근육들은 팔을 뒤로 젖혀 신전할 때 활성화 된다. [상지선] 심부후방상지선 – 견갑거근심부후방상지선의 시작점. 중력에 의해 잡아당겨지는 견갑골이 아래로 떨어지지 않게 아래에서 잡아주는 역할, 위쪽으로는 승모근이 잡아준다. 견갑골이 후인하강 된 사람은 경추와 흉추가 평평하여 목과 등이 일자에 가깝고, 상부 승모근이 일을 전혀하지 않아 정상적인 거상이 안 된다. 승모근이 개입을 전혀 안 한..

건강정보 2025.07.08

대흥동 헬스피티 후방기능선(광배근 기립근 대둔근 외측광근)...염리동 헬스피티

후방기능선(광배근 기립근 대둔근 외측광근)후방 기능선의 대표적인 움직임은 점프이다. 굽혔다 펴는 힘을 많이 사용하는데 운동종목에선 역도가 후방기능선의 대표적인 동작이다.후방기능선은 폭발적인 신전을 담당하는데 흉요근막이 중심에 위치하여 광배와 대둔근을 연결시켜준다. 천골의 위쪽에 위치하여 상하체를 X자 형태로 연결시켜준다. 앉아있으면 이 부위가 늘어나 광배와 둔근의 연결이 끊기고 데드리프트때 허리 쪽 통증이 발생한다. 원암 스네치나 원암 스윙은 사선방향으로 한 쪽씩만 연결되기 때문에 운동 기능이 좋은 사람이 좌우 회전이 포함되어 불균형이 있을 때 교정운동 종목으로 사용 가능하다. 후방기능선의 중심점이 골반 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골반을 안정시켜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중심점이 연결되지 못하면 어디든 힘을 ..

건강정보 2025.07.0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