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건강증진센터 김현진·박진호·조비룡·김종일 교수팀은 2009~2014년 검진센터를 방문한 성인 남성 187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16일 밝혔다. 연구팀은 이들 남성의 컴퓨터단층촬영(CT) 결과를 바탕으로 내장 지방 및 피하지방 조직의 분포를 파악하고 체질량 지수, 허리둘레 등 신체 계측 자료를 수집해 복부 비만(평균 허리둘레 98㎝)인 190명과 그렇지 않은(평균 허리둘레 87㎝) 1686명을 나눴다. 이후 이들 주거지의 미세먼지 농도와 폐활량의 상관관계를 조사했다.

그 결과 복부에 지방이 많은 사람들은 거주지의 미세먼지 농도가 증가(약 10㎍/㎥씩)할 때마다 폐활량 지수가 10%씩 떨어졌다. 이에 비해 복부 비만이 미미하거나 없는 이들은 거주지 미세먼지 농도가 달라져도 폐 기능 저하 현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연구진은 “지방세포는 염증을 유발하는 물질(인터루킨-6)을 분비하고 활성산소종을 생산하기 때문에 복부 비만 환자는 호흡기·심뇌혈관 질환에 잘 걸린다. 여기에 대기오염이 더해지면 폐 기능 저하가 심화돼 해당 질환의 발병이 증가하고 증상이 악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박진호 교수는 “복부 비만이 있는 사람은 평소 미세먼지 노출을 최소화하는 생활 습관을 갖고 복부 지방 감량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비만학회지’ 최근 호에 실렸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http://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5/17/01afc20c-9471-4735-b981-e270a42af3c4.jpg)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2030 혼밥남, 배 나올 확률 최대 68% 높아
혼자서 밥 먹는(혼밥하는) 경우가 많을수록 각종 질병에 노출될 위험이 커진다는 연구 결과도 나왔다. 특히 여성보다 남성, 그중에서도 편의점 식품이나 패스트푸드 등에 길들여진 20~30대 남성이 위험하다. 윤영숙 일산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가 2013~2015년 성인 1만2096명(남성 5095명, 여성 7001명)을 분석했더니 하루 두 번 이상 혼밥하는 남성의 복부 비만 위험은 혼밥을 하지 않는 남성보다 32%나 컸다. 특히 식습관이 좋지 않은 20~30대 남성이 하루 두 번 이상 혼밥하면 배가 나올 위험이 68% 더 높았다.
이로 인해 하루에 두 번 이상 혼밥하는 남성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고혈압에 걸릴 위험이 1.37배 높았고, 당뇨병 발병 위험 역시 하루 1회 혼밥(14%), 2회 이상 혼밥(41%) 등 횟수가 늘수록 커졌다. 이 밖에 가족과 함께 식사하는 남성에 비해 혼자 밥을 먹는 남성이 우울증에 걸릴 확률이 2.4배 높다는 연구(연세대 김태현 교수팀)도 있다. 윤 교수는 “혼밥은 비만·당뇨병·우울증·삶의 질 하락 등과 전방위적으로 연결된다”고 지적했다.
세끼를 혼밥하는 사람은 전체 국민의 9%(465만 명)로 추정된다. 이행신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건강노화산업단장이 2013~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2만686명 대상)를 바탕으로 연구해 16일 열린 대한의사협회 주최 심포지엄에서 발표했다. 특히 1인 가구(2015년 기준 520만3440가구)의 절반(52%)은 세끼를 모두 혼자 먹는 것으로 조사됐다.
편의점 식품, 짜고 열량 높지만 영양소 부족
문제는 혼밥이 균형 잡힌 식사와는 거리가 멀다는 점이다. 세끼 모두 혼밥하는 사람 중 34.3%가 나트륨 하루 권장량(2000㎎)을 초과 섭취했다. 세끼 모두 함께 식사하는 사람의 하루 나트륨 권장량 초과 비율(24.3%)보다 높다. 에너지·지방을 과잉 섭취하는 비율은 세끼 모두 혼자 먹는 19~29세 청년층이 7.6%로 모든 연령대를 통틀어 가장 높았다. 반면 에너지와 철·칼슘 등 각종 영양 섭취량이 부족한 경우도 세끼 모두 혼밥인 그룹에서 제일 높았다.
전문가들은 이를 개선하기 위해 올바른 식습관에 신경 써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종구 의협 국민건강보호위원장은 “‘혼밥’ ‘혼술’로 표현되는 사회적인 현상 속에서 이왕 혼자 먹더라도 건강하게 영양소를 챙겨가며 먹는 습관을 갖추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수현 소비자시민모임 실장은 “혼밥의 주된 문제점은 나트륨 과다, 영양분 부족”이라며 “앞으로 영양을 고려한 혼밥 레시피 홍보, 도시락의 영양 표시 의무화 등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종훈·백수진 기자 sakehoon@joongang.co.kr
[출처: 중앙일보] 배 나온 남자, 미세먼지 더 위험 … 농도 오르면 폐기능 저하
'헬스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오개 헬스장] 노벨상 수상자들이 말하는 시간제한 다이어트.../ 마포 공덕동 염리동 아현동 래미안 헬스장 (0) | 2018.03.16 |
---|---|
[염리동 헬스장] 통증에 대한 잘못된 오해.../ 마포 공덕동 아현동 애오개 래미안 헬스장 (0) | 2018.03.15 |
[애오개 헬스장] 운동없이 근육을 만들어주는 약물이 나온다.../ 마포 공덕동 염리동 아현동 래미안 헬스장 (0) | 2018.03.13 |
[아현동 헬스장] 연구결과 '노화방지' 결국 운동밖에 없다.../ 마포 공덕동 염리동 애오개 래미안 헬스장 (0) | 2018.03.12 |
[애오개 헬스장] 콜레스테롤 무조건 나쁘기만 한가?.../ 마포 공덕동 염리동 아현동 래미안 헬스장 (0) | 2018.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