햄스트링>반막양근
내측 햄스트링. 넓적한 막의 형태. 아치가 무너지면 내측 가자미근이 긴장되면서 내측 비복근을 더 잡아 당기게 되는데, 이 때 내측 햄스트링도 과긴장하게 된다. 반막양근은 무릎쪽과 가깝게 발달되어 무릎을 굽힐때 많이 쓰게 된다.
운동 역학의 기준: 1. 관절과 가까운 근육이 더 많이 쓰이게 된다. 2. 움직이는 방향과 일치하는 근육을 더 많이 쓰게 된다. 3. 힘센 근육이 더 많이 일을 하게 된다 (횡단면적이 넓은)
보행시 다리를 움직이는 방향은 수직상황에서 앞뒤로 움직이는 것이고, 내측 햄스트링은 외측 햄스트링보다 더 수직방향으로 주행하고 횡단면이 상대적으로 더 넓고 두껍기 때문에 보행시에 내측 햄스트링이 더 많이 쓰이게 된다.
고관절이 내회전 되었을때 내측 햄스트링과 내측 비복근은 동원율이 더 높아진다. 외측 대퇴이두는 앞쪽을 향해 이동하게 되고 내측 햄스트링은 상대적으로 뒤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고관절이 내회전 되면 움직이는 방향이 내측 햄스트링과 맞아 떨어져 내측 햄스트링을 더 쓰게 되는데, 무릎과 가까이 붙어있어서 무릎을 자꾸 더 돌리게 되 무릎에 압박을 주게 된다. 그래서 고관절 내회전 된 상태에서 계속 걷게 되면 통증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햄스트링>반건양근
반건양근은 골반쪽과 가깝게 붙어있다. 힘줄이 길다. 반막양근에 비해 작아보이지만 잘라보면 생각보다 두꺼워 반막양근보다 힘이 더 세다.
장시간 앉아있게 되면 골반과 무릎은 굽어진 자세로 있게 되는데, 이 때 골반쪽 햄스트링(반건양근)은 늘어나고 무릎쪽 햄스트링(반막양근)은 타이트해져 근육 길이가 불일치하게 되어 안정성이 떨어지고 반건양근의 반사적 근수축도 떨어진다. 이 때 앉은 상태에서 무릎을 펴는 스트레칭을 실시할 경우 무릎의 감각신경 민감도가 높아져 골반보다 무릎쪽이 당기는 경우가 훨씬 많다. 무릎관절의 안정성을 위해선 위아래 햄스트링의 균형이 맞아야 한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덕역 헬스피티 표면후방선 아킬레스건...애오개 헬스피티 (0) | 2025.04.24 |
---|---|
공덕동 헬스피티 표병후방선 가자미근...아현동 헬스피티 (0) | 2025.04.23 |
공덕 헬스피티 표면후방선 족저근막...도화동 헬스피티 (0) | 2025.04.22 |
염리동 헬스피티 기능해부학적 움직임의 형태...대흥동 헬스피티 (0) | 2025.04.21 |
애오개 헬스피티 움직임에 대한 면과 축...공덕역 헬스피티 (0) | 2025.04.18 |